금융인증서 발급 방법 (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 다른점)

금융인증서 발급 방법 (+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 다른점)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 2020년 12월 10일 전자서명법 개정 시행으로 인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공인인증서에서 추가로 금융인증서가 도입됨에 따라 사용목적에 따라 인증서의 구분이 되었는데요. 공동인증서란 기존에 사용하던 공인인증서를 말하며 최근에는 구 공인인증서라 부릅니다.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의 차이는 사용목적에 따른 차이로 인터넷 전자상의 인증 및 거래를 위해 사용되는 공인인증서와 달리 금융인증서는 발급처의 금융서비스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며, 은행이면 은행, 증권사면 증권사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인증서 입니다.

최근 KB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인증서가 도입되고는 있지만 금융인증서의 경우 금융업무 전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주 용도입니다.


imgCaption0
홈택스 간편인증 로그인

홈택스 간편인증 로그인

홈택스 간편인증 종류 홈택스에서는 공동인증서 및 금융인증서 로그인 이외에도 간편 간편인증 로그인 방식이 있습니다. 이는 공인인증서가 없는 분들을 위하여 인증서 등록 방법 이외의 로그인 방법을 말하며, 홈택스 간편인증 종류로는 아래 각 7종의 간편인증 방법이 있습니다. 홈택스 간편인증 이용범위 카카오페이, PASS, 페이코 등 간편인증 방법으로 홈택스 로그인시 연말정산간소화 조회, 국세 증명발급, 각종세금 신고 등 대부분의 홈택스 서비스를 이용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국세납부 혹은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등의 일부 서비스는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통해 이용해볼 수 있습니다.

신한은행 공인인증서 발급재발급

인터넷뱅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수로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합니다. 공인인증서는 해당 은행의 공인인증센터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공인인증서는 무료로 발급되는 인증서와 유료로 발급되는 인증서가 있습니다. 무료 은행신용카드보험용 유료 4,400원전자거래범용, 코스콤 유료 4,400원전자거래범용, 결제원 하지만 대부분의 일반사용자는 무료로 발급되는 공인인증서를 발급하시면 됩니다. 공인인증서 발급과정은 1. 약관동의, 2, 정보입력, 3. 추가인증정보확인 및 인증, 4. 인증서 암호 및 저장위치 선정, 5. 처리완료 순으로 진행이 됩니다.

Step 1 약관동의 공인인증서 발급을 위한 각종 약관 동의 입니다. 약관은 필수로 클릭해서 확인하셔야 하며 동의를 해주셔야 다음으로 진행이 됩니다.

금융인증서 종류

금융인증서는 개인용과 사업자용 있으며 개인용 금융인증서는 범용 금융인증서로 사용 목적 제한없이 모든 인증 업무에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용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은행 계좌 조회 혹은 이체 주식 매수 및 매도 등 모든 주식 거래 카드내역조회, 보험조회, 보험금 신청, 주식거래 등 모든 금융일을 할때 정부 민원일을 할 때 개인용 금융인증서 발급 비용은 무료이며, 한 번 발급 시 유효 기간은 3년으로 3년 뒤에 금융인증서 만료 전 갱신하면 됩니다.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점

금융인증서를 발급받을 때 공동인증서라는 단어를 보셨을텐데요. 두 인증서 간의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그리고 어떤 인증서를 발급 받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홈택스 간편인증 로그인

홈택스 간편인증 종류 홈택스에서는 공동인증서 및 금융인증서 로그인 이외에도 간편 간편인증 로그인 방식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신한은행 공인인증서

인터넷뱅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수로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금융인증서 종류

금융인증서는 개인용과 사업자용 있으며 개인용 금융인증서는 범용 금융인증서로 사용 목적 제한없이 모든 인증 업무에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용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